이오니아 양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오니아 양식은 기원전 6세기 중반 이오니아(현재 터키)에서 시작된 고대 그리스 건축 양식이다. 주두의 소용돌이 장식이 특징이며, 도리아 양식보다 기둥이 가늘고 받침대가 있다. 엔타블레이쳐는 아키트레이브, 프리즈, 코르니스로 구성되며, 안타 주두는 벽 상단과 연속성을 이루는 장식적인 프리즈를 갖는다. 이 양식은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에도 사용되었으며, 비트루비우스는 이오니아 양식을 여성적인 것으로 묘사했다. 르네상스 시대 이후 도서관과 법정에 적합한 양식으로 여겨졌으며, 한국에는 이오니아 양식 건축물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지만, 일본, 그리스, 서양 등 다양한 지역에서 이 양식을 활용한 건축물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의 건축 - 스토아
스토아는 그리스 건축 양식의 하나로, 열주 회랑식의 단순한 건물이며, 스토아 학파는 아테네의 스토아 포이키레에서 제논이 연설한 데서 유래했다. - 고대 그리스의 건축 - 카리아티드
카리아티드는 건축에서 기둥 역할을 하는 여성 조각상으로, 고대 그리스 카리아이 여인들을 묘사한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에레크테이온 등에서 사용되고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상징적으로 활용된다. - 건축사 - 브루탈리즘
브루탈리즘은 1950년대에 시작된 건축 양식으로, 노출 콘크리트와 기능성을 강조하며,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을 받아 대학 캠퍼스 건축 등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1970년대 후반 쇠퇴 후 재평가되기도 하였다. - 건축사 - 빌라
빌라는 고대 로마 시대 상류층의 시골 저택에서 유래하여 로마 제국 시대 부와 권력의 상징이었으며, 시대에 따라 의미와 형태가 변화하여 현대에는 단독주택, 고급 숙박 시설, 소규모 공동주택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이오니아 양식 | |
---|---|
개요 | |
![]() | |
어원 | 고대 이오니아 |
기원 | 기원전 6세기 중반, 아시아의 그리스 |
특징 | 우아하고 장식적인 형태 |
건축적 특징 | |
기둥 | 높이: 기둥 지름의 9배 홈: 24개 받침: 몰딩과 띠로 장식 |
주두 (기둥머리) | 소용돌이 장식 (볼류트) 아바쿠스 (판석): 조각으로 장식 |
엔타블레처 (상부 구조) | 아키트레이브 (Architrave): 3개의 수평 밴드 프리즈 (Frieze): 조각으로 장식된 띠 코니스 (Cornice): 몰딩으로 장식 |
역사 및 용도 | |
기원 | 도리아 양식 이후 두 번째로 발전 원래 목재 건축에서 유래 |
용도 | 신전, 공공 건물, 개인 주택 여성적인 우아함과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데 사용 |
주요 건축물 |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 아테네의 니케 신전 로마의 포르투나 비릴리스 신전 |
비례와 장식 | |
비례 | 기둥 높이 대 너비 비율: 9:1 우아하고 균형 잡힌 느낌 강조 |
장식 | 주두의 볼류트: 핵심적인 장식 요소 프리즈: 조각이나 그림으로 장식 몰딩: 다양한 형태로 전체적인 아름다움 강조 |
다른 양식과의 비교 | |
도리아 양식 | 더 단순하고 튼튼한 형태 주두에 장식이 없음 |
코린트 양식 | 더 화려하고 장식적인 형태 주두에 아칸서스 잎 장식 |
토스카나 양식 | 가장 단순한 형태 로마 건축에서 주로 사용 |
영향 | |
르네상스 건축 | 고전 건축 부활 이오니아 양식의 비례와 장식 재해석 |
신고전주의 건축 | 고대 그리스-로마 건축 양식 재현 이오니아 양식의 우아함 강조 |
현대 건축 | 장식 요소로 활용 다양한 건축 스타일에 적용 |
분포 | |
그리스 | 아테네, 델로스, 올림피아 |
이탈리아 | 로마 |
터키 | 에페소스 |
참고 문헌 | |
관련 서적 |
2. 특징
이오니아 양식은 기원전 6세기 중반 이오니아 지방에서 탄생하여, 기원전 5세기에는 그리스 본토에서도 사용되었다. 도리아 양식과 달리, 이오니아 양식의 기둥은 스테이로바테스나 기단 위에 주초를 두고 그 위에 세워진다.
이오니아 양식의 엔타블레이쳐는 아키트레이브, 프리즈, 코니스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아키트레이브는 보통 3개의 띠로 나뉘며, 프리즈에는 풍부한 조각이 새겨진다. 코니스에는 치상(齒狀) 장식이 설치된다. 도리아 양식의 트리글리프 대신 회화적이고 이야기를 표현하는 얕은 부조가 설치되는 것이 이오니아 양식의 특징이다.[37]
비트루비우스는 『건축 십서』에서 도리아 양식은 튼튼한 남성 신체의 비례를 가지는 데 비해, 이오니아 양식은 더 섬세한 여성의 신체 비례를 가진다고 언급했다.[37]
2. 1. 주두

이오니아 양식의 주요 특징은 주두의 소용돌이 장식인데, 이는 비트루비우스의 간결하고 모호한 구절에 기초하여 많은 이론적, 실질적 담론의 대상이 되어왔다.[2] 이러한 특징을 설계하는 데 필요한 유일한 도구는 자, 직각, 끈(반 길이 설정용) 및 컴퍼스였다. 소용돌이 장식 아래에서 이오니아식 기둥은 주두를 플루트된 기둥 축에서 분리하는 넓은 칼라 또는 띠를 가질 수 있으며(예: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의 저택 쿨 성) 또는 과일과 꽃의 화환이 소용돌이 장식에 의해 형성된 틈이나 "목"에서 늘어질 수 있다.
원래 소용돌이 장식은 단일 평면에 놓여 있었다. 그러다가 모서리에서 밖으로 각도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오니아 양식의 이러한 특징은 기원전 4세기 비판적인 시각에서 도리아 양식보다 더 유연하고 만족스러웠다. 모서리 기둥의 소용돌이 장식의 각도를 조절하여 정면 또는 측면 파사드에서 볼 때 동일하게 "읽히도록" 했다. 그러나 일부 고전 예술가들은 이를 만족스럽지 않게 보았고, 이오니아식 기둥을 건물 모서리에 배치하면 주두의 구조적 논리를 희생하여 왜곡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코린트 양식은 모든 각도에서 동일하게 잘 읽히도록 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3] 16세기 르네상스 건축가이자 이론가인 빈센초 스카모치는 이러한 완벽한 사면 이오니아식 주두의 버전을 설계했고, 이는 표준이 되었다. 그리스 이오니아 양식이 18세기 후반 그리스 부흥기에 다시 도입되었을 때, 고풍스러운 신선함과 원시적이고, 어쩌면 공화주의적 활력을 전달했다.[4]
이오니아 양식 주두의 특징은 에키누스 위에 얹혀 있거나, 또는 에키누스에서 돌출된, 짝을 이룬 소용돌이 장식이다. 에키누스는 보통 난형(卵形) 장식을 가지고 있다. 소용돌이 장식은 초기에는 평면적이었지만, 후에 모서리가 돌출되는 형태로 변하여, 정면에서 보아도 측면에서 보아도 같은 모양으로 보이게 되었다.
2. 2. 기둥
이오니아식 기둥은 도리아식보다 항상 더 가늘기 때문에 항상 받침대가 있다.[5] 이오니아식 기둥은 높이가 기둥 지름의 8~9배이며, 미국의 후기 그리스 부흥 양식 플랜테이션 하우스의 남북 전쟁 전 열주에서 훨씬 더 길게 사용되기도 한다.이오니아식 기둥은 대부분 플루트가 있다. 초기 실험을 거친 후, 기둥 몸체에 있는 홈의 수는 24개로 정해졌다. 이 표준화는 기둥의 높이가 과장되었을 때도 모든 규모에서 플루팅이 기둥의 지름과 친숙한 비율을 유지하도록 했다. 그리스 도리아식 플루팅은 모서리나 날카로운 가장자리까지 뻗어 지나가는 사람들이 쉽게 손상될 수 있지만, 이오니아식 플루팅은 각 홈 사이의 기둥 표면에 작은 평평한 표면을 남긴다.[6]
어떤 경우에는 플루팅이 생략되기도 했다. 영국 건축가 이igo Jones는 런던의 화이트홀 연회장에 평범한 이오니아식 기둥을 사용하여 절제된 느낌을 주었고, 존 러셀 포프는 보자르 건축을 통해 시어도어 루스벨트의 지성과 결합된 남성적인 체력을 전달하기 위해 뉴욕 시의 미국 자연사 박물관에 있는 루스벨트 기념관에 거대한 이오니아식 기둥을 플루팅 없이 배치하여 강인함과 위엄을 보여주는 특이한 인상을 주었다. 와바시 철도 건축가 R.E. 모어는 1928년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철도 델마 대로 역 설계에 8개의 플루팅이 없는 이오니아식 정면 기둥을 포함시켰다.
도리아 양식의 기둥과 달리, 이오니아 양식의 기둥은 일반적으로 기둥 몸체가 스테이로바테스나 기단 위에 설치된 주초 위에 세워진다 (도리아 양식에서는 기둥 몸체가 스테이로바테스나 기단 위에 직접 세워진다). 이오니아 양식의 주두에 특징적인 것은 에키누스 위에 얹혀 있거나, 또는 에키누스에서 돌출된 짝을 이룬 소용돌이 장식이다. 에키누스는 보통 난형(卵形) 장식을 가지고 있다. 소용돌이 장식은 초기에는 평면적이었지만, 후에 모서리가 돌출되는 형태로 변하여, 정면에서 보아도 측면에서 보아도 같은 모양으로 보이게 되었다.
2. 3. 엔타블레이처
이오니아 양식의 엔타블레이쳐는 아키트레이브, 프리즈, 코니스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아키트레이브는 보통 3개의 장식 없는 띠로 나뉘며, 그 위에 프리즈에는 풍부한 조각이 새겨져 있다. 코니스에는 치상(齒狀) 장식이 설치되어 있다. 도리아 양식에서 트리글리프가 설치되었던 장소에는 회화적이고 이야기를 표현하는 얕은 부조가 설치되어 이오니아 양식의 특징이 되었다.[37] 로마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아키트레이브의 비율을 줄여 엔타블레이쳐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프리즈가 더 두드러지게 표현되었다.2. 4. 안타 주두
이오니아식 안타 주두는 안타 주두의 이오니아식 변형으로, 그리스 신전 건축에서 지지 벽의 앞쪽 가장자리인 안타의 정점 부분이다. 안타는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설계된 돌 블록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구조적인 경우에는 "안타 주두"라고 불리고, 로마 시대처럼 장식적인 경우에는 "필라스터 주두"라고 불린다.[7][8]벽에서 과도하게 튀어나오지 않도록, 이러한 안타 주두는 일반적으로 상당히 평평한 표면을 보여주며, 따라서 주두는 전체적으로 다소 직사각형 모양의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인 기둥 주두와 달리, 이오니아식 안타 주두는 매우 장식적이며, 일반적으로 교대로 연꽃과 불꽃 팜 밴드, 그리고 알과 다트 및 구슬과 릴 패턴의 밴드를 포함하여 벽 상단을 따라 장식적인 프리즈와 연속성을 유지한다. 이러한 차이점은 로마 시대에 안타 또는 필라스터 주두가 기둥 주두와 매우 유사한 디자인을 갖게 되면서 사라졌다.[7][8] 에레크테이온(기원전 410년경)의 이오니아식 신전에서 볼 수 있듯이, 이오니아식 안타 주두는 인접한 프리즈의 연장선상에 있는 광범위한 꽃무늬 밴드를 가진 특징적인 직사각형 이오니아식 안타 주두이다.
3. 역사
이오니아 양식은 기원전 6세기 중반 이오니아(오늘날의 터키 이즈미르 주)와 이오니아인들이 정착한 아나톨리아의 남서부 해안 및 섬에서 시작되었다. 이오니아 그리스어를 사용했던 이 지역에서 기원전 5세기에 그리스 본토에서 사용되었다. 그리스 고졸기 (기원전 750-480년)에 이오니아에서 가장 인기가 있었다. 최초의 위대한 이오니아 신전은 건축가 로이코스가 기원전 570-560년경에 지은 사모스 섬의 헤라 신전이었으나, 10년 만에 지진으로 파괴되었다. 더 오래 지속된 6세기 이오니아 신전은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이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정복 이후, 파키스탄 탁실라 근처 잔디알 사원에서도 이오니아 양식의 몇몇 사례가 발견된다. 인도 파트나에서도 이오니아의 영향을 보여주는 몇몇 사례를 볼 수 있는데, 특히 기원전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파탈리푸트라 주두는 이오니아 안타 주두의 디자인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이며,[9][10] "페르시아-이오니아" 또는[11] "준이오니아"로 묘사된 사르나트 주두도 있다.[12][13][14]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건축가 비트루비우스는 도리아식 기둥이 남성 신체의 비율을 기초로 하는 반면, 이오니아식 기둥은 여성의 신체에서 영감을 받은 "가냘픔"을 나타냈다고 보고한다.[15]
르네상스 건축 이론가들은 비트루비우스의 암시를 통해 이오니아 양식을 도리아 양식에 비해 여성적이고, 코린트 양식만큼 완전히 여성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해석했다. 이오니아 양식은 르네상스 이후의 도서관과 법정에 적합하며, 학문적이고 문명화된 분위기를 연출한다.
17세기부터 이오니아 양식의 가장 칭송받고 모방된 버전은 로마의 포르투나 비릴리스 신전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앙투안 데스고데츠의 ''로마의 고대 건축물'' (파리, 1682년)에 상세한 판화로 처음 명확하게 소개되었다.
3. 1. 고대 그리스
이오니아 양식은 기원전 6세기 중반 이오니아(오늘날의 터키 이즈미르 주)와 이오니아인들이 정착한 아나톨리아의 남서부 해안 및 섬에서 시작되었다. 이오니아 그리스어를 사용했던 이 지역에서 시작된 이오니아식 기둥은 기원전 5세기에 그리스 본토에서 사용되었다. 그리스 고졸기 (기원전 750-480년)에 이오니아에서 가장 인기가 있었다. 최초의 위대한 이오니아 신전은 건축가 로이코스가 기원전 570-560년경에 지은 사모스 섬의 헤라 신전이었으나, 10년 만에 지진으로 파괴되었다. 더 오래 지속된 6세기 이오니아 신전은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이었다. 파르테논 신전은 주로 도리아 양식을 따르지만, 일부 이오니아식 요소도 가지고 있다.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에서 볼 수 있는 좀 더 순수한 이오니아식은 에레크테이온에서 잘 나타난다.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건축가 비트루비우스는 도리아식 기둥이 남성 신체의 비율을 기초로 하는 반면, 이오니아식 기둥은 여성의 신체에서 영감을 받은 "가냘픔"을 나타냈다고 보고한다.[15]
3. 2.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정복 이후, 파키스탄 탁실라 근처 잔디알 사원에서 이오니아 양식의 몇몇 사례가 발견되었다. 인도 파트나에서도 이오니아 양식의 영향을 보여주는 몇몇 사례를 볼 수 있는데, 특히 기원전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파탈리푸트라 주두는 이오니아 안타 주두의 디자인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9][10] "페르시아-이오니아" 또는[11] "준이오니아"로 묘사된 사르나트 주두도 있다.[12][13][14]아우구스투스 시대의 건축가 비트루비우스는 도리아식 기둥이 남성 신체의 비율을 기초로 하는 반면, 이오니아식 기둥은 여성의 신체에서 영감을 받은 "가냘픔"을 나타냈다고 보고한다.[15] 그는 이러한 자의식적이고 "문학적인" 접근 방식에 대한 출처를 밝히지 않았지만, 이는 헬레니즘 건축가, 예를 들어 리디아(현재 터키)의 마그네시아에 있는 유명한 아르테미스 신전의 건축가인 프리에네의 헤르모게네스로부터 전해져 내려온 전통일 것이다.
르네상스 건축 이론가들은 비트루비우스의 암시를 통해 이오니아 양식을 도리아 양식에 비해 여성적이고, 코린트 양식만큼 완전히 여성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해석했다. 이오니아 양식은 르네상스 이후의 도서관과 법정에 적합하며, 학문적이고 문명화된 분위기를 연출한다. 비트루비우스의 저술보다 더 오래된 고전 건축에 대한 논문은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기원전 5세기와 4세기에 이해되었던 건축 요소의 이러한 "의미"를 식별하는 것은 불확실하게 남아 있지만, 르네상스 시대에는 고전주의의 일반적인 "언어"의 일부가 되었다.[16]
17세기부터 이오니아 양식의 가장 칭송받고 모방된 버전은 로마의 포르투나 비릴리스 신전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앙투안 데스고데츠의 ''로마의 고대 건축물'' (파리, 1682년)에 상세한 판화로 처음 명확하게 소개되었다.
3. 3. 르네상스 시대 이후
르네상스 건축 이론가들은 비트루비우스의 기록을 바탕으로 이오니아 양식을 도리아 양식에 비해 여성적이고, 코린트 양식보다는 덜 여성적인 것으로 해석했다.[16] 이오니아 양식은 르네상스 이후의 도서관과 법정에 적합하며, 학문적이고 문명화된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으로 여겨졌다.16세기 르네상스 건축가이자 이론가인 빈센초 스카모치는 완벽한 사면 이오니아식 주두를 설계했는데, 이것이 표준이 되었다. 18세기 후반 그리스 부흥기에 다시 도입된 그리스 이오니아 양식은 고풍스러운 신선함과 원시적이고, 어쩌면 공화주의적 활력을 전달했다.[4]
17세기부터 이오니아 양식의 가장 칭송받고 모방된 버전은 로마의 포르투나 비릴리스 신전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앙투안 데스고데츠의 ''로마의 고대 건축물''(파리, 1682년)에 상세한 판화로 처음 명확하게 소개되었다.
이오니아 양식의 주요 특징은 주두의 소용돌이 장식인데, 이는 비트루비우스의 간결하고 모호한 구절에 기초하여 많은 이론적, 실질적 담론의 대상이 되어왔다.[2] 소용돌이 장식 아래에서 이오니아식 기둥은 주두를 플루트된 기둥 축에서 분리하는 넓은 칼라 또는 띠를 가질 수 있으며(예: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의 저택 쿨 성) 또는 과일과 꽃의 화환이 소용돌이 장식에 의해 형성된 틈이나 "목"에서 늘어질 수 있다.
원래 소용돌이 장식은 단일 평면에 놓여 있었으나, 모서리에서 밖으로 각도를 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오니아 양식의 이러한 특징은 기원전 4세기 비판적인 시각에서 도리아 양식보다 더 유연하고 만족스러웠다. 그러나 일부 고전 예술가들은 이를 만족스럽지 않게 보았고, 이오니아식 기둥을 건물 모서리에 배치하면 주두의 구조적 논리를 희생하여 왜곡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코린트 양식은 모든 각도에서 동일하게 잘 읽히도록 하여 이 문제를 해결했다.[3]
4. 한국의 이오니아 양식 건축물
주어진 원본 소스는 '한국의 이오니아 양식 건축물' 섹션에 적합하지 않은 일본과 그리스 건축물 목록입니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다음과 같이 작성해야 합니다.
현재 한국에는 이오니아 양식으로 건축된 건물이 남아있지 않거나, 자료가 부족하여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합니다.
5. 갤러리
참조
[1]
서적
De architectura
http://www.vitruvius[...]
2020-04-25
[2]
웹사이트
Geometric Methods of the 1500s for Laying Out the Ionic Volute
http://www.nexusjour[...]
Nexus Network Journal
2004
[3]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https://archive.org/[...]
Thomson/Wadsworth
1991
[4]
인용
2007-12-14 }) are typical statements, selected almost at random from texts accessible on-line.
[5]
서적
The Art of Building in Ancient and Modern Times, Or, Architecture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 Appleton
[6]
서적
Greek Architecture
Penguin
[7]
서적
A handbook of ornament
https://books.google[...]
Рипол Классик
2016-11-16
[8]
서적
The Classical Language of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9]
인용
https://www.jstor.or[...]
[10]
서적
A Companion to Asian Art and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
[11]
서적
The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For 1907
https://archive.org/[...]
1907
[12]
서적
Hellenism in ancient India
https://archive.org/[...]
Calcutta
1920
[13]
서적
The Archaeology of Early Historic South Asia: The Emergence of Cities and Sta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4]
서적
The Archaeology of Early Historic South Asia: The Emergence of Cities and Sta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5]
서적
The Ten Books on Architecture
Harvard University Press
1914
[16]
서적
The Classical Language of Architecture
1963
[17]
서적
L’art grec
Mazenod
1975
[18]
서적
A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Laurence King
2022
[19]
서적
A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Laurence King
2022
[20]
서적
La Mesopotamia - Arte e Architettura
Einaudi
2017
[21]
서적
Roman Art and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1964
[22]
서적
A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Laurence King
2022
[23]
서적
Le Style Louis XIV
Flammarion
1927
[24]
웹사이트
Coupe ronde
https://collections.[...]
2024-09-06
[25]
서적
Maya - Divine Kings of the Rain Forest
h.f.ullmann
2012
[26]
웹사이트
Eglise Saint-Jacques
https://www.pop.cult[...]
2023-09-13
[27]
서적
A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Laurence King
2022
[28]
웹사이트
Serre-bijoux de Marie-Antoinette
https://collections.[...]
2023-09-21
[29]
서적
A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Laurence King
2022
[30]
웹사이트
Immeuble France-Lanord
https://pop.culture.[...]
2024-07-21
[31]
서적
Bucharest Architecture - an annotated guide
Ordinul Arhitecților din România
2017
[32]
서적
Postmodern Design Complete
Thames & Hudson
2017
[33]
서적
Postmodern Design Complete
Thames & Hudson
2017
[34]
서적
Postmodern Design Complete
Thames & Hudson
2017
[35]
서적
フジモリ式建築入門
筑摩書房
[36]
서적
建築物・様式ビジュアルハンドブック
株式会社エクスナレッジ
[37]
웹사이트
Vitruvius, Book IV, Chapter 1
http://www.vitruvius[...]
2022-04-16
[38]
웹사이트
Parthenon
https://www.reed.edu[...]
2022-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